💌XREAL 11월 셋째 주 소식 OpenAI Dev Day
지난 11월 6일, OpenAI가 “OpenAI Dev Day” 라는 첫번째 개발 컨퍼런스를 열었습니다. 이 컨퍼런스는 업계 리더, 개발자, 연구원 및 AI 애호가가 한자리에 모여 인공 지능의 최신 발전 동향에 대해 살펴보는 자리입니다. 이번 아티클에서는 이 OpenAI 의 발표 중에서, 특히나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내용들에 대해 알아보고, 이러한 내용들이 업계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해 예시를 통해 구체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
|
|
더욱 강력해진, 128K Context Window의 GPT-4 Turbo |
|
|
지난 2023년 7월에 OpenAI는 모든 개발자들이 GPT-4를 사용 가능한 버전으로 공개했습니다. 그리고 이번 개발자 컨퍼런스에서 GPT-4의 바로 다음 세대인 GPT-4 Turbo의 프리뷰(예비)를 출시하였습니다. GPT-4 Turbo는 단일 프롬프트에서 128K Context Window 만큼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 때 Context Window는 한 주제를 계속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는 요소로 ChatGPT와 같은 LLM 모델의 핵심이라 할 수 있으며, 128K는 약 300페이지 텍스트를 처리할 수 있는 매우 방대한 분량입니다. 따라서 이로 인해 복잡한 문서를 분석하거나, 긴 대화를 지속하는 등 방대한 정보를 필요로 하는 작업이 더욱 수월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뿐만 아니라 GPT-4 Turbo는 ‘23년 4월까지의 지식이 업데이트 되는 등 성능이 대폭 향상되어, 이전 모델보다 훨씬 정교하고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향상된 문맥 이해 능력을 통해 더욱 정확하고 자연스러운 대화가 가능해졌습니다. |
|
|
출처: OpenAI - Introducing GPTs |
|
|
두 번째로 주목할만한 지점은 컨퍼런스 이후부터, ChatGPT 플러스 (매월 20달러) 구독자는 코딩 없이 쉽게 자신만의 GPT를 생성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입니다. 이 때 생성된 GPT는 회사 내부 공유용 뿐 아니라, 모두에게 공유 가능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습니다. 자신만의 GPT 를 만드는 과정은 1) 대화를 시작하고 2) 명령을 내리고 3) 추가 지식을 제공하고 4) GPT가 어떤 기능을 할 수 있을지 선택함으로써 이뤄집니다. 이는 웹 검색, 이미지 만들기, 데이터 분석 등의 작업만큼 쉽습니다.
또한, OpenAI 는 이번 달 말 검증된 제작자의 창작물을 선보일 수 있는 GPT 스토어를 출시할 예정입니다. 사용자는 스토어에 들어가면 원하는 형태의 GPT를 검색할 수 있고, 인기있는 GPT는 순위에 오를 수 있습니다. 앞으로 몇 달 안에 자신이 만든 GPT를 사용하는 사람 수에 따라 수익을 얻을 수도 있습니다. |
|
|
Custom GPT 로 인해 기대가능해진, 유저 친화적인 GPT |
|
|
원하는 결과를 얻기에 적합한 프롬프트를 작성하는 능력은 ChatGPT 서비스를 사용할 때, 매우 중요한 역량 중 하나로 여겨집니다. 특히 사용자가 자유로운 형태로 문장을 입력한다는 점은, 오히려 사용자가 어떻게 입력해야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지에 대한 혼동을 야기한다는 점에서 ChatGPT 서비스 사용에 대한 진입장벽을 높이는 요소 중 하나이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Custom GPT 제작이 가능해지며, 다양한 분야와 유저에 특화된 GPT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UX를 고려해서 유저 타겟에 적합하고, 보다 사용자 친화적인 GPT 앱이 만들어질 수 있다는 가능성이 열리게 된 것이죠. [계속 읽기...📄] |
|
|
[이미지 출처] 휴메인
지난 9일 애플 출신들이 창업한 미국 AI 스타트업 휴메인(Humane)은 옷깃에 붙여 사용하는 웨어러블 AI 비서 ‘AI 핀’을 출시했습니다. 휴메인은 애플 출신 임란 초드리와 베사니 본조르노 부부가 2018년 스마트폰을 대체하기 위해 설립한 스타트업으로, 오픈AI, LG, SK네트웍스 등의 투자를 받으며 유명세를 탔습니다. ‘AI 핀’은 옷에 고정하는 명함 크기의 디바이스로 손바닥이 디스플레이를 대신하고 스크린없이 음성과 터치를 통해 전화를 걸거나 문자 전송이 가능합니다. 또한 음식을 가까이 대고 칼로리를 묻거나 책을 가까이 대고 온라인 판매가를 물어보면 정확한 수치를 음성으로 답해주기도 합니다. 현재 AI핀의 가격은 699달러 (약 91만원)으로 오는 16일부터 주문을 받을 예정입니다. |
|
|
[이미지 출처] TechM
글로벌 메타버스 플랫폼 ‘더 샌드박스’가 AI 기술 도입과 모바일 버전 출시 등을 통해 크리에이터 제작 콘텐츠 확장에 나설 것이라 밝혔습니다. 지난 13일 열린 ‘업비트 D 콘퍼런스 2023’에서 더 샌드박스 최고운영책임자는 “더 샌드박스에서 우리의 사명은 항상 사람들이 창작자가 될 수 있도록 역량을 부여하는 것”이었다며, “2023년 초부터 매달 13만명 이상의 크리에이터가 ‘게임메이커’를 적극적으로 사용해 놀라운 게임들을 만들어내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같은 확장세를 더욱 공고히 하고자 AI 기술을 더할 예정인데요. 일부 제작자가 테스트를 시작한 것으로 밝혀진 신 기술기반으로, 더샌드박스 내 타이핑만으로 3D 세계를 구축하거나 자동으로 3D 자산을 구축하는 양상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특히 NFT 도입을 통해 수익 창출도 도모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
|
|
[이미지 출처] 머니투데이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제페토(ZEPETO)에 마련한 '모드 엣 제페토(MODE at ZEPETO)'가 오픈 10일 만에 방문자 100만명을 달성했습니다. 콘진원 대표 패션 지원사업인 '모드’는 주목할 만한 국내 디자인 브랜드 제품을 메타버스에서 경험할 수 있도록 아이템 개발이나 패션쇼와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고, 오프라인 팝업과 연동해 K-패션 디자이너들의 마케팅을 지원하는 프로젝트입니다. 모드 엣 제페토에 10일간 방문한 100만 이용자 중 95% 이상이 글로벌 소비자라는 게 콘진원 설명입니다. 인도네시아, 태국, 미국, 일본, 프랑스 등 상위 10개국 사용자들이 70%에 달하며, 10일간 판매된 아이템 숫자도 4만여개입니다.
|
|
|
이번 한주의 뉴스레터는 어떠셨나요?👀
자유롭게 의견 남겨주세요! |
매주의 메타버스 뉴스가 궁금하다면?📰
아래의 링크로 구독하세요! |
|
|
TEAM New Media 📰
김수현, 김성규, 김지영, 복정욱, 조민주, 윤가영, 이다솔, 이다연, 이서윤, 이재니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