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REAL 11월 첫째 주 소식 수많은 메타버스들, 무엇이 다를까?
갑작스레 메타버스라는 키워드가 주목받으면서, 국내외에서 다양한 플랫폼들이 너도나도 메타버스를 자처하며 등장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렇다면 이들 각각의 특징과 차이는 무엇일까요? 이번 주 기사에서는 국내외 주요 메타버스를 살펴보며 각각이 어떤 생태계와 경제 시스템, 특징을 기반으로 운영되고 있는지 파악해보고자 합니다. |
|
|
- 2006년 서비스가 시작되었으며, ‘23년 기준 월 MAU 2억 200만 명, DAU 4,320만 명에 달하는 현 시점에서 가장 성공한 메타버스라 할 수 있습니다. 다만 블록체인 기반 기술을 사용하지는 않는, Web 2.0 기반의 공간입니다.
- 주요 특징은 유저들이 크리에이터가 되어 게임을 만들고 공간을 꾸려나가는 생태계가 잘 정착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회사가 직접 게임을 개발하는 것이 아닌, 유저들이 게임을 잘 만들 수 있는 환경과 도구를 제공하면 유저들은 주어진 환경 속에서 자신만의 게임을 만들고 그것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기도 합니다.
- 로블록스의 가상 화폐 로벅스(Robux) 현금 환전을 통해 ‘21년 기준 800명의 게임 개발자들이 1년 간 $30,000 의 수익을 창출한 바 있다는 것을 보면, 로블록스가 얼마나 자리잡은 플랫폼인지 다시금 알 수 있게 해줍니다.
|
|
|
디센트럴랜드(Decentraland) | 가상 부동산 |
|
|
- 디센트럴랜드는 블록체인 플랫폼 이더리움을 기반으로 하는 메타버스입니다. 디센트럴랜드는 공간 내에서 부동산(LAND)을 구매하고 부동산 내 가게를 경영하는 등의 경제 활동이 주가 되는 공간입니다. 따라서 유저가 LAND를 소유할 경우, 본인 소유지에 갤러리, 게임공간 등 원하는 모든 것을 만들 수 있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 ‘경제 활동’이 주가 되는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보니, 타 메타버스 대비 디센트럴랜드의 차별점은 1) DAO (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 2) NFT 거래 에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 다만, ‘21년 말 ~ ‘22년 초 수백만 달러 거래액을 기록했던 것과 달리, ‘23년 4월 기준 매주 디센트럴랜드에서 부동산을 활발히 사고파는 사람은 2~30명 (금액 $50,000 수준)인 것으로 알려져, 가상 부동산 시장에 대한 관심세가 비교적 하락한 것으로 보입니다.
|
|
|
더 샌드박스 (The Sandbox) | 게임 창작 |
|
|
- 더 샌드박스는 로블록스 및 디센트럴랜드와 유사한 특징을 지니고 있습니다. 더 샌드박스 역시 이더리움 기반의 메타버스로, 게임을 직접 만들고, 소유하고, 수익화할 수 있는 경험을 플레이어들에게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 더 샌드박스에서는 SAND, LAND, ASSETS을 기반으로 경제 시스템이 구성됩니다.
- SAND: 더 샌드박스 내 모든 거래 및 상호작용의 근간이 되는 ERC-20 토큰입니다.
- LAND: 더 샌드박스 메타버스의 디지털 부동산입니다. LAND를 가지고 있는 플레이어들은 게임, 또는 에셋을 전시하여 사람들을 끌어모을 수 있습니다. (~NFT). 특히 랜드는 수량이 정해져 있어 거래가 늘어날 수록 가치도 오르는 구조입니다.
- ASSETS: 플레이어들이 만들어내는 토큰, 더 샌드박스 게임 메이커에서 쓰이거나 마켓플레이스 상에서 거래 가능합니다.
- 로블록스와 같이, 유저들이 편리하게 게임을 창작하고 공간을 구성할 수 있도록 복스에딧(VoxEdit), 마켓플레이스, 게임 메이커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복스에딧(VoxEdit): 유저들은 복스에딧을 사용해 건물 블록과 같은 3D 정육면체 픽셀이라 할 수 있는 복셀을 자유자재로 다루며 멋진 작품들을 빠르게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 마켓플레이스: 유저들은 복스에딧으로 만든 창작물들을 업로드하고, 출시하고, 판매할 수 있습니다.
- 게임 메이커: 누구든지 3D 게임을 무료로, 코딩 없이 만들 수 있게 돕는 툴입니다.
[계속 읽기...📄]
|
|
|
[이미지 출처] Rayneo
TCL의 증강 현실 회사인 Rayneo가 하와이 마우이에서 열린 Qualcomm의 SnapDragon Summit 2023에서 새로운 X2 라이트 스마트 안경을 공개했습니다. 무게가 60g에 불과한 초경량 안경은 퀄컴의 최신 스냅드래곤 AR1 칩으로 구동되는 최초의 풀컬러 3D AR 디스플레이입니다. 마이크로LED 광도파관 디스플레이와 포괄적인 AI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음성 제어 및 실시간 번역 기능을 갖춘 올인원 AR 어시스턴트 역할을 합니다. Rayneo는 이 안경이 30° 시야각과 최대 1500니트 밝기를 제공한다고 밝혔고, 안경은 2024년 3분기에 출시될 예정입니다. |
|
|
[이미지 출처] Nexon
넥슨은 구글 클라우드와의 협업을 통해 유해 이미지 탐지 AI(인공지능) 모델의 성능을 고도화했다고 26일 밝혔습니다. 넥슨의 유해 이미지 탐지 시스템은 게임마다 다른 선별 기준과 캐릭터 디자인 등의 게임 특수성에 맞게 자체적으로 AI 모델을 개발해 적용 중입니다. 특히 오픈AI의 클립(CLIP) 모델을 활용해 이미지와 텍스트를 함께 해석해 맥락을 이해함으로써 탐지의 품질을 더욱 높였습니다. 나아가, 넥슨은 자체적으로 수집한 이미지뿐만 아니라 애니메이션과 게임에 특화된 최적의 데이터셋을 구성하고 AI를 학습시켜 게임 특수성을 고려한 탐지 모델을 고도화 해 이목을 끌었습니다.
|
|
|
[이미지 출처] 셔터스톡
주요 7개국(G7)이 인공지능(AI) 기술의 위험과 잠재적 오용 가능성을 완화하기 위해 기업을 위한 행동 강령을 내놓습니다. 주요 내용은 인류를 위협할 수 있는 최첨단 AI 보유 기업에 초점을 맞춘 자율 규제 요구입니다. G7은 “11개 항목에 걸쳐 전 세계적으로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AI를 장려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가장 발전된 파운데이션 모델 및 생성 AI 시스템을 포함해 가장 발전된 AI 시스템을 개발하는 조직의 행동에 대한 자발적인 지침을 제공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
|
|
이번 한주의 뉴스레터는 어떠셨나요?👀
자유롭게 의견 남겨주세요! |
매주의 메타버스 뉴스가 궁금하다면?📰
아래의 링크로 구독하세요! |
|
|
TEAM New Media 📰
김수현, 김지영, 복정욱, 조민주, 윤가영, 이다솔, 이다연, 이서윤, 이재니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