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REAL 9월 넷째 주 소식 블록체인과 온라인 게임
구독자 여러분께서는 블록체인 게임에 대해 들어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여기서 블록체인은 데이터를 소규모 블록으로 나누어 연결한 분산 데이터 저장 기술입니다. 해당 기술은 중앙 서버를 거치지 않고, 클라이언트 PC끼리 직접 데이터를 주고 받는 P2P 방식을 기반으로 탈중앙화된 전자장부를 이용함이 특징적입니다. 또한, 모든 참여 노드에 데이터 변경 리스트를 기록해 임의 조작을 방지합니다. 즉 중앙 관리자 없이 거래가 가능한 것이 특징이지요.
블록체인은 비트코인과 같은 암호화폐가 화제 되며 그리 생소한 개념은 아니게 되었습니다. 사실 블록체인 산업은 지난해 부정적 시각이 깊어지면서 암울함을 맞았던 산업이기도 합니다. 세계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 'FTX' 뱅크런 사태, 위메이드 '위믹스' 상장 폐지 등 굵직한 악재가 겹치며 가상자산 시장 전체가 급속도로 냉각되었죠. 이용자 사이에서도 코인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 심화된 것이 이유입니다. 블록체인 시장에서는 ‘크립토 윈터’라는 말이 나오며, 기업공개(IPO)를 예고했던 기업들도 줄줄이 철회를 발표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얼어붙은 투자 시장에서도 100억 이상의 투자를 유치 중인 분야가 있습니다. 블록체인 게임 산업입니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인텔라X와 하바, 컴투버스 등이 줄줄이 100억대 투자 유치 소식을 발표했기도 합니다. 또한, 올해 위메이드 ‘위믹스’는 재상장 소식을 안고 돌아왔고, 넥슨·위메이드·컴투스 등 게임업계의 대표적인 기업들이 블록체인을 통한 비전을 발표하며 블록체인 게임에 대한 국내 게임사들의 투자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업계에서는 이들의 공통점이 정통 게임사에서 시작한 블록체인 프로젝트라는 점을 주목하고 있습니다. 단순히 돈을 벌기 위해 게임을 하는 P2E를 넘어, 재미있는 게임을 하면서 블록체인을 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러브콜의 이유로 추측됩니다. 그렇다면, 블록체인과 온라인 게임을 어떤 방식으로 믹스했는지 궁금해집니다. 실제 사례를 통해 알아보고, 앞으로 블록체인 게임 산업이 나아가야 할 바에 대해 생각해 보고자 합니다. |
|
|
엑시 인피니티(AXS)는 이더리움 기반의 NFT 블록체인 스마트폰 게임입니다. 모바일 턴제 RPG로, 엑시라는 이름의 몬스터를 키워 전투를 한다는 콘셉트입니다. 이 게임을 플레이하기 위해서는 꽤 복잡한 절차를 거쳐야만 합니다. 게임 내 회원가입뿐만이 아니라, 자체 암호화폐 지갑 로닌을 설치하고, 로닌 지갑으로 암호화폐를 보낼 별도의 외부 지갑 메타마스크를 설치해 이 두 가지를 연동해야 합니다.
이건 기본적인 세팅일 뿐이고, 실제로 플레이하기 위해서는 초기에 엑시 3마리를 구입해야만 가능합니다. 2021년 기준으로 엑시 한 개 기준 약 100만 원부터 150만 원까지 가격대가 형성되었다고 하니, 진입장벽이 상당히 높음을 알 수 있습니다. [계속 읽기...📄]
|
|
|
[이미지 출처] ZEPETO
네이버제트가 글로벌 럭셔리 브랜드 구찌와 11번째 협업으로 제페토 구찌 패션쇼 스트리밍과 새로운 구찌 월드·패션 아이템을 선보입니다. 제페토는 지난 22일 구찌의 새 크리에이티브 디렉터인 사바토 드 사르노 (Sabato de Sarno)의 데뷔 패션쇼 라이브 스트리밍을 지원했다고 25일 밝혔습니다. 네이버제트 사업총괄 강희석 리드는 "제페토에서는 이용자들이 아바타를 통해 자신만의 개성을 자유롭게 드러내고 있고, 제페토의 다양한 패션, 뷰티 아이템은 이용자 고유의 아이덴티티를 표현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라며 "앞으로도 이용자들의 다채로운 자기표현이 이어질 수 있도록 글로벌 기업과 협업을 적극 진행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뉴젠스와 KT MOS북부에 대한 이음5G 주파수 할당 절차를 완료했다고 25일 밝혔습니다. 두 업체는 특히 28㎓ 대역의 고속 통신망을 활용해 각각 군사와 의료 교육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뉴젠스는 대전 대덕대 군사훈련체험관과 경기 과천시 자사의 연구개발(R&D)검증센터에 28㎓ 대역 이음5G망을 구축합니다. 대덕대에서는 VR과 증강현실(AR) 기반의 전투훈련 교육 서비스를 실시간 고화질로 제공합니다. 이 서비스는 분대나 소대 단위의 다자 간 협업 전투, 드론·박격포·대공화기의 분해·조립·운용 등이 담겼다. 이번 주파수할당은 5G 28㎓ 등을 활용하는 기업의 기술력이 다자간 실시간 고화질 영상 전송을 요구하는 군사·의료 교육계의 수요에 부응해 이루어진 것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
|
|
[이미지 출처] Meta
지난 24일,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IDC에 따르면 2023년 상반기 중국 AR/VR 헤드셋 출하량은 32만8000여대로 전년동기 대비 44% 감소했다고 합니다. 중국 AR/VR 시장의 출하량 감소는 VR시장 출하량이 큰폭으로 감소한데 따른 것인데요, AR 헤드셋은 상반기에만 6만8000여대 출하되며 전년대비 142% 증가했다고 합니다. 반면 VR 헤드셋은 26만대 출하에 그치며 53.3%나 줄어들었습니다. IDC는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기업들의 제품이 출시된지 시작이 상당히 흘렀을 뿐 아니라 판촉 활동도 줄어든 탓에 VR 장비의 판매량이 줄어들었다고 분석했으며, 애플 비전프로 등의 신제품이 출시되면 판매량이 다시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면서 업체들도 마케팅을 강화해야한다고 전했습니다. |
|
|
구독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
매주 메타버스 뉴스레터를 발행하고 있는 매거진팀의 리브랜딩 소식입니다! 🎉😍
기존 매거진팀이 뉴미디어팀으로 리브랜딩하게 되었습니다! 이로써 뉴스레터 뿐만 아니라, 메타버스와 관련된 뉴미디어의 선두주자가 되어보고자 합니다. 앞으로 메타버스와 관련된 깊이 있는 인사이트를 다양한 방식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할게요!
언제나 감사합니다🍀 뉴미디어팀을 소개하는 인스타그램 페이지도 놀러오세요~!
|
|
|
이번 한주의 뉴스레터는 어떠셨나요?👀
자유롭게 의견 남겨주세요! |
매주의 메타버스 뉴스가 궁금하다면?📰
아래의 링크로 구독하세요! |
|
|
김수현, 김지영, 복정욱, 조민주, 윤가영, 이다솔, 이다연, 이서윤, 이재니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