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REAL 8월 셋째 주 소식 생성형 인공지능🤖의 일자리 대체⚒,
어떻게 바라봐야 할까?👀
빠르고 완벽하게 일을 처리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 중 하나로 많은 회사들이 업무의 자동화를 추진하고 있는 요즘입니다. 매킨지 글로벌 인스티튜트(McKinsey Global Institute)에서는 이번 새 보고서에서 2030년까지 미국 경제 전반에서 현재 근무 중인 시간의 최대 30%에 해당하는 활동이 자동화될 수 있으며, 이는 generative AI(생성형 인공지능)에 의해 가속화되는 추세라고 밝혔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생성형 인공지능은 텍스트, 오디오, 이미지 등의 기존 콘텐츠를 활용하여 유사한 콘텐츠를 새로 만들어 내는 인공지능(AI) 기술을 말합니다. (생성형 인공지능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는 여기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생성형 인공지능은 단순히 콘텐츠의 패턴을 학습하여 추론 결과로 새로운 콘텐츠를 만들어내는 것을 넘어 콘텐츠의 생성자와 만들어진 콘텐츠를 평가하는 판별자가 끊임없이 서로 대립하고 경쟁하며 새로운 콘텐츠를 생성하는데요. 글을 이미지나 비디오로 전환시키는 프로그램 등을 그 예시로 들 수 있습니다. 메타는 문장을 입력하면 비디오로 만들어주는 ‘메이크 어 비디오’ 서비스를 선보였고, 구글도 텍스트를 영상화하고 영상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 AI 비디오 생성기 ‘이메진 비디오’를 공개하기도 했죠.
|
|
|
[이미지 출처] 메타
빠른 속도와 정확성, 그리고 날로 높아지는 완성도 측면에서 많은 이점을 자랑하고 있는 생성형 인공지능, 과연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업무의 자동화는 우리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까요? 생성형 인공지능을 많은 회사가 여러 업무에 도입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일자리를 잃게 되거나, 소득이 줄어드는 것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AI가 언어 번역, 콘텐츠 생성, 심지어 코딩과 같은 작업에 능숙해짐에 따라 이러한 기술의 발전에 인간이 점차 설 자리를 잃게 될 수도 있다는 생각에서 기인하는 두려움인 건데요. |
|
|
특히, 인공지능이 가장 먼저 대체할 업무는 단순 업무입니다. 사무 지원, 고객 서비스 및 식당 업무 등이 대표적인데요. 일각에서는 인공지능이 여성이 주로 진출해 있는 산업이나 일용직 업무를 먼저 대체할 것이라는 우려스러운 시각도 있습니다. 이는 기존에도 쉽게 일자리를 위협받던 인구가 인공지능에게도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데요. 2030년까지 미국 경제 전반에서 현재 근무 중인 시간의 최대 30%에 해당하는 활동이 자동화되고, 생성적 인공지능에 의해 가속화되고 있는 상황 속에서 여성 노동자들의 입지에 대한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
|
|
[이미지 출처] 네이버
네이버는 오는 24일 팀네이버 컨퍼런스 단(DAN) 23을 개최해 초대규모 인공지능(AI) 하이퍼클로바X를 공개합니다. ‘단(DAN)’은 플랫폼의 한국어 표현으로서 ‘모두를 위한 기술 플랫폼’을 지향하는 네이버가 플랫폼 역할에 대한 끊임없는 재해석과 비전을 시대에 올려놓고 공유하는 컨퍼런스 플랫폼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네이버는 이날 행사에서 그동안 베일에 가려졌던 자체 거대규모 AI 하이퍼클로바X를 공개하고, 해당 기술이 결합된 다양한 네이버의 서비스도 소개할 예정입니다. |
|
|
[이미지 출처] roadtovr
Meta는 인간의 눈의 능력과 거의 일치할 수 있는 시각적 선명도를 제공하는 VR 디스플레이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습니다. 연구 프로토타입으로써, 해당 기술이 언제 상용화 될 수 있는지 아직은 알 수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메타가 헤드셋에서 발견되는 지속적인 문제를 해결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
|
|
[이미지 출처] 오늘의 집
오늘의 집은 삼성전자와 ‘비스포크 홈메타'를 리뉴얼 오픈했다고 11일 밝혔습니다. 삼성 비스포크 홈메타는 냉장고부터 에어컨, 공기청정기 등 다양한 비스포크 제품들을 3D 가상공간에서 배치해보고 구매까지 할 수 있는 가전 시뮬레이터 서비스입니다. 고객은 다양한 컨셉으로 구성된 가상의 집에 삼성전자 비스포크 제품을 인테리어와 매칭하며 어울리는 제품을 찾을 수 있습니다. 비스포크 홈메타는 고객에게 더욱 현실감 있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실제 고객의 거주 공간을 반영해 5가지 평형(53㎡, 96㎡, 99㎡, 141㎡, 182㎡)의 가상공간을 준비했습니다. 또한 실내 공간도 주방, 거실, 세탁실, 드레스룸 등으로 세분화해 체험 편의성을 높였습니다. |
|
|
이번 한주의 뉴스레터는 어떠셨나요?👀
자유롭게 의견 남겨주세요! |
매주의 메타버스 뉴스가 궁금하다면?📰
아래의 링크로 구독하세요! |
|
|
김주하, 김채연, 김하은, 서명섭, 오연주, 윤가영, 이다솔, 이다연, 이서윤, 이재니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