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REAL 7월 둘째 주 소식 개요
지난 7월 7일부터 8일 이틀간, 서울 XR 실증센터 컨퍼런스 홀에서 XREAL 메타톤(메타버스 해커톤) 행사가 진행되었습니다. 이번 해커톤의 주제는 "What the Meaverse Area Needs”로, 엔데믹 시대가 도래하며 메타버스에 대한 대중의 관심도가 예전보다 떨어진 상황에서, 일반 사람들에게도 와닿을 수 있도록 삶에 필요한 해결책이 될 수 있는 아이디어를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하였습니다.
아래는 메타톤 주제 전문입니다.
|
|
|
지난 5년간 메타버스라는 주제는 국내와 전세계를 뜨겁게 달궜다. 가상 공간에서의 만남이 필수적인 시대를 맞게 되었고, 자연스럽게 현실이 아닌 가상현실에서의 삶을 더 편하게, 더 효율적으로 발전시키고자 하는 움직임이 있었다. 달궈진 쇠를 식히듯, 우리는 메타버스라는 주제를 삶에 굳히며 한 단계 발전하고자 한다. 메타버스라는 단어를 더 이상 뜨거운 감자가 아닌 강인한 강철처럼 삶에 필요한 해결책으로 제시해보자. 이번 4기 메타톤에서는 개인적 연구나 취미에서 나아가 일상 속에 녹아들 수 있는 메타버스 관련 결과물을 제시하여 메타버스와 현실을 이어나가고자 한다.
각 주제는 최종 발표를 통해 1) 주제 적합성, 2) 독창성, 3) 발전 가능성 세 가지 영역에서 평가 받으며, 대상/최우수상/우수상은 각각 150만원/100만원/50만원을 수여 받습니다.
* 이번 메타톤에서는 아산나눔재단과 XR 실증센터의 후원을 받아 행사를 진행하였습니다.
|
|
|
진행
최고의 메타버스 학회를 꿈꾸는 XREAL의 구성원들은 이틀에 걸쳐 함께 해결하고 싶은 문제, 혹은 함께 만들고 싶은 프로덕트가 있는 경우 각 주제를 피칭합니다.
이번 해커톤 행사에서 다음 5개의 팀이 구성되었습니다.
- 개구리짱
- DREAM CHAT
- We need skill
- I can be
- 헤르메스
팀빌딩 과정을 거쳐 5-6명의 팀원으로 이뤄졌습니다. 팀장이 아닌 참가자들은 해커톤 참여 전에 할 수 있는 것(Can)과 팀 내에서 맡길 원하는 내용(Want)을 작성해 구글폼을 제출했습니다. 또한 해커톤 팀빌딩 과정에서 원하는 팀에 어필하고 싶은 부분을 방명록에 작성하고, 팀장은 이러한 정보들을 바탕으로 함께할 팀원을 뽑았습니다.
팀이 결성되면 이제는 함께 달릴 시간입니다!
최종 발표 때 선보일 결과물을 함께 열심히 만듭니다. |
|
|
[이미지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부가 충청권 4개 지자체(충북, 충남, 대전, 세종)와 함께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재난안전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는 ‘인공지능/메타버스 기반 재난안전관리체계 강화’ 사업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본 시스템은 사고 징후를 다양한 센서 데이터로 수집한 후,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사고 예방 및 사후 대응을 위한 최적의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올해에만 총 120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며 2025년까지 정부 지원이 계획되어 있습니다. |
|
|
[이미지 출처] 로블록스
삼성전자가 '확장현실(eXtended Reality·XR)' 헤드셋 개발 목표를 애플의 '비전프로'급으로 상향 조정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삼성전자는 당초 범용 헤드셋인 메타의 '퀘스트'를 겨냥해 신제품 개발을 추진했지만, 애플이 첨단 고가 제품을 최근 공개하자 시간이 다소 걸리더라도 애플과 정면 승부에 나서는 쪽으로 선회했습니다. 9일 복수의 정보기술(IT)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XR 헤드셋을 오는 26일 열리는 '삼성 갤럭시 언팩 2023'에서 공개하지 않고, 개발 기간을 늘려 잡기로 전략을 수정했습니다. 한 업체 관계자는 "애플이 지난 5월 3499달러(약 456만원)짜리 고가 헤드셋을 발표하면서 삼성도 전략을 전면 수정했다"며 "공개 시점도 올해 말은 어렵고 이르면 내년 초로 순연됐다"고 전했습니다. |
|
|
[이미지 출처] 열린인공지능
오픈AI의 챗GPT와 이미지 생성 모델 미드저니를 활용한 인공지능 서적 100권이 동시에 출간돼 17일부터 교보문고, 예스24, 알라딘 등을 통해 일반에 판매를 시작했습니다. 히든브레인연구소의 열린인공지능출판사(대표 송태민)이 출판의 꿈을 갖고 있었으나 이를 실행하지 못했던 100명의 저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대규모 인공지능 프로젝트로, 참여자들은 챗GPT와 미드저니를 활용해 도서를 출간하는데 성공했습니다. 해당 프로젝트를 총괄한 송대표는 “많은 사람들이 창작의 과정에 있어서 인공지능이 얼마나 큰 도움이 될 수 있는지를 직접 경험하게 됐고, 누구나 인공지능을 활용하고 응용하면 자신의 업무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
|
|
이번 한주의 뉴스레터는 어떠셨나요?👀
자유롭게 의견 남겨주세요! |
매주의 메타버스 뉴스가 궁금하다면?📰
아래의 링크로 구독하세요! |
|
|
김주하, 김채연, 김하은, 서명섭, 오연주, 윤가영, 이다솔, 이다연, 이서윤, 이재니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