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REAL 3월 첫째 주 소식 최근 미국에서 ChatGPT가 쓴 에세이가 A+ 학점을 받거나, 밴더빌트대 피바디 교육대학 사무국이 미시간주립대에서 발생한 총격 사건에 대한 애도문을 ChatGPT로 썼다는 사실이 드러나 비판받는 등 여러 논란이 일기도 했습니다. 이에 대해, 교육부는 ChatGPT와 관련된 지침을 내놓겠다고 말했습니다.
이처럼 ChatGPT는 사용하는 사람의 의도에 유용한 도구가 될 수도, 도덕적이지 않게 활용될 수도 있는 양날의 검입니다. 하지만 상상하기도 힘든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학습한 ChatGPT, 잘만 활용한다면 인류에게 혁신적인 모델이 될 것임은 부정할 수 없을 것입니다. 가상공간에서의 AI 기반의 ChatGPT는 디자인, 개발 등 매우 다양분야에서 적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고무적입니다.
단순히 ‘가상공간’의 의미 그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메타버스는, AI를 필요로 합니다. 메타버스와 AI는 헬스케어, 게이밍, 매니지먼트, 마케팅, 교육 등 다양한 산업에 적용되는데요. 그 중 챗봇은 유저들에게 더 빠르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하며, 많은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간소화하는 AI의 대표적인 응용 프로그램 중 하나입니다.
AI는 메타버스를 유저 친화적이고 사용하기 쉬운 플랫폼으로 만들어 줍니다. 자연어 처리(NLP), 음성 인식, 증강현실, 컴퓨터 비전과 같은 기술들에 기반해, 사용자는 각자의 모국어와 시각적 이미지 및 영상을 통해 메타버스와 상호 작용하게 되는 것입니다. ChatGPT 역시 AI 기반의 프로그램입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ChatGPT는 어떠한 원리로 개발되었으며, 메타버스 환경 내에서는 어떤 방식으로 활용이 가능한지 살펴볼까요? |
|
|
ChatGPT
ChatGPT는 OpenAI에 의해 개발된 NLP모델로서, 주어진 input에 대해 사람과 같은 답변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매우 방대한 양의 문자 데이터에 의해 학습된 GPT-3 모델인데요. 기존에 있던 GPT 1을 강화 학습을 통해 발전시켜서 좀 더 인간의 명령에 대한 이해도를 높였습니다. 강화 학습이란 데이터 처리 작업을 다음과 같은 두가지 방식으로 진행하게 됩니다.
- 주어진 질문에 대한 답변을 대신 써줘.
- 생성된 답변 여러 개를 랭킹 매겨줘.
이런 방식으로 두가지 종류의 데이터를 생성하고 스스로 데이터를 학습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ChatGPT는 사용자가 많을 수록 더 많은 양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ChatGPT는 다음 답변을 생성할 때 여태까지 진행 된 대화 히스토리를 함께 입력하는 식으로 이전 대화를 기억합니다. ChatGPT는 다른 사용자의 질문에도 이러한 히스토리를 적용하여 답변해주기도 합니다. [계속 읽기...📑] |
|
|
Connecting Reality, XR
👉[D-3] XREAL 4기 모집 👈
Unity 인증 단체: 메타버스 학회 XREAL 4기 리크루팅
(Research📊/Dev💻/Design👩🎨)
✏️ 활동 내용 ✏️
XREAL은 [1️⃣독자적인 교육 커리큘럼]과 [2️⃣프로젝트 운영 방침]을 바탕으로 메타버스 산업을 선도하는 인재를 길러냅니다. 메타버스와 XR 비전을 함께하는 기업/기관과 [3️⃣세미나 및 산학협력 프로젝트]를 진행합니다. 산학계가 함께하는 [4️⃣해커톤, 컨퍼런스 개최]를 통해 생태계 확장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일정 📆
서류 마감 : ~ 3월 4일 (토) 23:59 |
|
|
Meta Quest는 이번 v50 업데이트를 통해 Direct Touch라는 새로운 실험 기능을 도입했습니다. 이제 Quest 사용자는 컨트롤러나 핸드 트래킹을 사용하여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처럼 Tap하고 Swipe하며 시스템 인터페이스와 직관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습니다. 해당 기능은 사용자가 v50으로 업데이트하면 설정의 실험 탭에서 직접 경험해볼 수 있습니다. 이전 Quest 기기의 경우, 시스템 인터페이스와 상호작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직접 가리키고 클릭해야 하여 번거로웠던 반면, 해당 Direct Touch 기능은 보다 더 사용자 친화적인 경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
|
🗣️ 저커버그 메타 CEO, "인공지능 기반 언어 모델 출시"
마크 저커버그 최고경영자(CEO)가 블로그에 24일(현지시간) 새로운 대규모 AI 언어 모델 LLaMa(Large Language Model Meta AI)을 개발자들에게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LLM은 구글의 AI 언어 프로그램 '람다'와 같이 텍스트를 읽고 요약하고, 번역하고 사람이 말하고 쓰는 것과 유사한 문장을 생성할 수 있는 인공지능 툴입니다. 현재 챗GPT의 GPT-3와 구글의 람다가 비공개인 점과 차별되어, LLM은 과학자와 엔지니어들이 AI 응용 프로그램에 연구할 수 있도록 비영리적 라이선스로 제공될 것이라고 발표되어 이목이 집중됩니다. |
|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메타버스 시대 이끌 석박사급 고급인재 양성 확대 |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메타버스 시대를 선도할 석박사급 고급인력 확보를 위해 2023년도 가상융합세계 연구실(메타버스 랩) 지원 사업을 24일 공고했습니다. ‘메타버스 랩(METAVERSE Lab.)’은 석박사 과정생을 중심으로 메타버스 기반 기술을 활용해 가상세계와 현실세계의 경제·사회·문화 활동이 상호 연결되는 서비스·콘텐츠를 개발하는 연구실입니다. 올해는 신규 3개 ‘가상융합세계 연구실’(6억원 규모)을 포함해 총 12개 ‘가상융합세계 연구실’(계속지원 9개 포함, 총 240명 지원, 28.55억원)을 운영하고 향후 2027년까지 17개로 확대해 총 1,600여명을 양성할 계획입니다. |
|
|
이번 한주의 뉴스레터는 어떠셨나요?👀
자유롭게 의견 남겨주세요! |
매주의 메타버스 뉴스가 궁금하다면?📰
아래의 링크로 구독하세요!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