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REAL 1월 셋째 주 소식 지난 1월 13일부터 14일 이틀 간, 서울 XR 실증센터 컨퍼런스 홀에서 XREAL 메타톤(메타버스 해커톤) 행사가 진행되었습니다. 이번 해커톤의 주제는 "XR로 만드는 새로운 세계, XR for the new world”로, 메타버스의 여러 요소 중에서도 XR에 특히 주목하여 현실보다도 확장된 세계인 확장 현실을 살아감에 있어 인류의 경험을 설계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습니다. |
|
|
"인류의 시공간적 제약을 약화시키기 위한 노력은 지속되어 왔고, 이는 주로 탐험과 연결의 형태를 띄었다. 이제 인류는 시공간의 제약을 없애려고 한다. 그리고 이러한 도전은 이제 ‘창조’를 통해 이루어진다. 그렇기에 무엇이든 가능하다. 현실을 더 편리하고 풍요롭게 만들어주는 서비스, 상상이 실현된 새로운 세계 등, 무엇이든 좋다. XR이기에 가능한 미래를 직접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커톤 목적 전문> |
|
|
이번 메타톤에는 REAL VR FISHING으로 유명한 DUG(Devs United Games), Metazium/Here we go 등의 메타버스 세계를 구현하는 와이드브레인, AR/VR 컨텐츠를 개발하는 디캐릭, 그리고 Unity에서 도움을 주셨습니다. |
|
|
총 8개의 주제가 등장했고, 이 중 '매드무브이알, 프로젝트 디오니소스, 피그말리온, 자리어때?, Phase killer, 쥬만지 어게인' 6개 주제만이 팀빌딩까지 이뤘습니다.
'AR 팝업북 제작, VR 헬스케어 서비스'는 아쉽게도 첫번째 관문을 통과하지 못했습니다.
스태프로 참여한 매거진 팀원이 작업 현장을 직접 돌아다니며 개발에 여념없는 팀들을 인터뷰했보았습니다! |
|
|
[매드무브이알]
🎤팀 소개 부탁드립니다!
VR 매드무비를 만든다. 일반적인 VR 영상은 멋지지 않다. 아날로그 모션을 디지털화한다는 것부터 필연적으로 불연속적인 아웃풋이 나올 수밖에 없고, 이는 VR이 killer contents를 갖지 못하는 것에 일조한다.
VR에서 모션 보정을 하지 않는 이유는 레이턴시(상대와의 시간 차이) 때문이다. VR은 멀티플레이하기 마련이며, 보정하느라 시간을 더 쓰면 원활한 게임 환경을 갖추기 어려울 것이다. 우리의 목표는 레이턴시를 신경 쓰지 않으면서도, 슬랩스틱처럼 보이지는 않도록, 사람들에게 영상으로 보여주는 것밖에 없다. 후처리를 하겠다는 뜻이다. 다시 말해, 3D 녹화라는 개념을 제시한다. 3차원에 있는 점 하나가 6DoF를 가진 단위 정보가 된다. 좌표 데이터를 보간해 보정하는 것이 목표다.
🎤이번 해커톤 동안 어디까지 완성할 수 있을 것 같으신지?
파편적 기능은 완성했다. 레코딩, 3D 녹화, 보간 모두 되며, 보간한 데이터를 다시 집어넣어 재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 모두를 하나로 합치는 건 아직 어렵다. 실제 게임에 적용한다면 좌표 데이터를 받아야 하는데, 이건 기존에 있는 게임을 다 뜯어내야 한다. mod 출시, plug-in 끼워 팔기 등의 방법을 고민해 볼 수 있겠으나 여기에도 복잡한 사업적 이슈가 있다.
그럼에도 여전히 가능성을 보여주고 VR도 웬만한 게임처럼 컨텐츠를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것 입증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 숏폼을 만드는 것이 목표다.
🎤나름 긴 시간 작업하며 느낀점이 있다면?
리서처로서 유니티 개발을 직접 하지 못해서, 개발자들은 신이라는 것을 느낀다. (옆에 있던 디자이너가 자신도 신이라 불러달라 요청한다.) 맞다. (웃음) 또한 리서처로 참여함에 있어 기획에만 안주해선 안 됨을 느낀다. 여러 기술적, 산업적인 요소들을 잘 이해해야만 팀을 잘 이끌어 나갈 수 있음을 깨달았다.
🎤(개발자에게) 개발자로서 스쳐 지나가는 심정?
될 것 같으면서 안 되는 것들의 연속이다.
🎤(디자이너에게) 디자이너는?
...(해탈)
🎤(Dev 성규님의 질문) 요즘은 실시간 스트리밍이 인기를 끈다. 제시하신 방식인 포스트 프로세싱으로는 한계가 있을 텐데?
이미 실시간 컨텐츠로는 생동감이 넘친다. 특히 플레이하는 사람에게는. 그래서 우리의 목표는 동영상 컨텐츠의 후처리에 집중하는 것이다.
[대망의 XREAL 메타톤, 결과는?📑] |
|
|
이달 13일 서울행정법원은 게임사 스카이피플이 게임물관리위원회(이하 게임위)를 상대로 제기한 자사 P2E(Play to Earn) 게임의 등급분류 결정취소 및 거부처분 취소소송에서 게임위의 손을 들었습니다. 앞서 게임위는 국내 앱 마켓을 통해 서비스된 파이브스타즈의 NFT 기능이 사행성을 조장할 수 있다고 판단해 등급분류를 거부했으며, 이에 스카이피플은 집행정지 가처분 신청과 더불어 행정처분 취소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P2E 게임의 국내 허용이 요원해지면서 게임사들은 일단 현재 서비스 되는 글로벌 시장에 집중하며 현행법 개정 가능성을 지켜보겠다는 입장입니다. |
|
|
애플은 이르면 올 봄 또는 6월 열리는 연례 개발자 행사 'WWDC'를 통해 MR 헤드셋을 공개할 예정입니다. 헤드셋의 이름은 '리얼리티 프로'이며, 'xrOS'라는 새로운 운영체제에서 구동됩니다. 가상 세계와 현실 세계를 빠르게 전환하기 위한 디지털 크라운 모양의 물리적 다이얼, 맥세이프 충전을 지원하는 배터리 팩, 착용자의 동공간 거리에 맞게 렌즈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소형 모터 등을 특징으로 합니다. |
|
|
지난 16일, 서울시가 세계 도시 최초 공공 메타버스 플랫폼인 '메타버스 서울’을 선보였습니다. 메타버스 서울은 자유, 동행, 연결을 핵심 가치로 삼고 경제와 교육, 세무, 행정, 소통 5개 분야에 대한 다양한 공간과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시민들은 아바타를 통해 전자책을 읽고, 시장실을 찾아 직접 의견을 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민등록등본, 건강보험료 납부 확인서 등 각종 행정 서류를 발급받고 세금 관련 상담도 받을 수 있습니다. 세계적으로 첫발을 내디딘 메타버스 서울이 좋은 선례를 남길 수 있을지 기대됩니다. |
|
|
Apple이 스마트워치를 시작으로 마이크로 LED의 사용을 점차 확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올해 하반기 출시 예상되는 MR 헤드셋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마이크로 LED 채택이 필수적입니다. 마이크로 LED는 기존 OLED에 비해 최대 밝기가 100배가량 높아 야외에서도 선명한 화면을 나타낼 수 있고, 응답속도도 1000배가량 빨라 지연속도를 줄일 수 있습니다. 이에 많은 기업들이 마이크로 LED의 생산가격을 낮춰 상용화를 시도하고 있습니다.
메타가 VR, AR 글래스용 광학 필터 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인 ‘개리 샤프 이노베이션스’를 인수했습니다. 3D 영화 제작 기업 RealD의 CTO 출신인 개리 샤프 등이 창업한 이 기업은 빛 반사로 인한 이미지 품질 저하를 방지하는 데 탁월한 노하우를 지니고 있습니다. 퀘스트 프로에서도 광학 필터에 꽤나 공을 들였던 메타가 다음 제품에서는 얼마나 더 발전된 퍼포먼스를 가져올지 기대됩니다.
|
|
|
이번 한주의 뉴스레터는 어떠셨나요?👀
자유롭게 의견 남겨주세요! |
매주의 메타버스 뉴스가 궁금하다면?📰
아래의 링크로 구독하세요!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