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부사장 그렉 조스위악은 <WSJ>의 인터뷰어가 한 “‘메타버스는 OO다’에서 빈칸을 채워달라”라는 질문에 “절대 사용하지 않을 용어다”라며, “메타버스라는 단어를 절대 사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그는 이어서 메타버스가 정확히 무엇인지 모르겠고, 그 기준이 모호하다고 덧붙였습니다.
메타버스란 정말 무엇일까요? 으레 알고 있듯, 메타버스는 가상을 의미하는 ****‘메타(Meta)’와 세계관을 의미하는 ‘유니버스’의 합성어입니다. 이는 꽤나 추상적이게 들리기도 하는데요. 그도 그럴 것이 누군가는 메타버스를 떠올릴 때 게임을, 누군가는 경제활동을, 누군가는 협업을, 누군가는 핵심기술을 가장 먼저 머릿속에 그릴 것입니다. 우리가 메타버스를 설명할 때, ‘제페토, 로블록스, 디센트럴랜드, 게더타운’ 등의 플랫폼을 예시로 드는 것처럼 말이죠.
이런 플랫폼들에 대해 종합적으로 설명해보면, 메타버스는 가상세계 속 아바타를 통해 실제와 같은 사회·경제적 활동을 하는, 현실과 연관되는 또 다른 세상이며, 현실과 가상세계에서 행위자들을 연결하는 전반적 기술로 정의됩니다.(Shin, 2022)
XREAL에서 정리한 메타버스의 개념은 이곳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렇듯 다소 폭넓은 의미로 다가오는 메타버스가 그 의미와 실효성을 찾기 위해서는 메타버스 기반 플랫폼에 대한 사용자들의 확실하고 유의미한 ‘니즈’가 존재해야 합니다.
우운택 카이스트 문화기술대학원장은 메타버스의 나아갈 방향을 “가상과 현실의 융합이라는 의미적인 해석에서 벗어나, 지속가능하고 경제·사회적으로 유용한 참여형 플랫폼으로 자리 잡는 것”으로 꼽았습니다. 또한, 메타버스가 ‘지속가능’하려면, 관련 플랫폼이 개방적이면서도 신뢰할 수 있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다시 말해, 메타버스가 더 이상 추상적인 개념에 한정되어 있는 것보다, 사용자에게 실효성있는 가치나 경험을 부여하는 실질적인 의미로서 발돋움할 때, 지속가능하다는 것인데요. 본 글을 통해 지속가능한 플랫폼으로서의 메타버스가 갖추어야 할 역량과 나아가야 할 방향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합니다. [계속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