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MORPG 게임을 아시나요? MMORPG는 ‘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Playing Game’의 줄임말로 말 그대로 대규모의 플레이어🤼들이 같은 게임에 접속하여 플레이하는 게임입니다.
가상공간에서 다양한 플레이어들과 롤 플레잉을 하며 논다는 점에서 메타버스와 상당히 유사한 점이 많은데요. 이에 대해 의견이 분분하던 와중 작년 7월 28일, 국회 입법조사처는 ‘메타버스(metaverse)의 현황과 향후 과제’라는 보고서에서 아래와 같이 메타버스와 게임은 분명한 차이가 있다고 발표했습니다.
“사람이 자신의 아바타를 조정한다는 점에서 메타버스는 게임과 비슷하다. 그러나 앞으로의 상황과 해야 할 일이 사전에 프로그래밍된 것이 아니라 본인과 다른 사람의 결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개방형 구조라는 점, 본인이 참여하지 않더라도 가상세계는 종료되지 않고 지속된다는 점, 구성원의 합의나 서비스 제공자의 불가피한 사정이 존재하지 않는 한 가상세계는 처음으로 리셋되지 않는다는 점 등이 게임과 메타버스의 차이점이다.”
같은 해 12월 게임물등급위원회가 의뢰한 연구용역 보고서에서도 게임과 메타버스는 분리해서 봐야한다는 결론을 냈습니다. 이에 메타버스에 가장 적극적인 게임회사들은 규제 이슈로부터 한숨 돌린듯 한데요. 그렇다면 사용자 입장에서 메타버스와 게임은 정확하게 무슨 차이가 있는 걸까요?
메타버스와 게임의 차이
메타버스에 대한 정의는 아직 제각각이지만 한국정보처리학회지에 따르면 메타버스란 ‘현실의 나를 대리하는 아바타를 통해 일상 활동🚶과 경제생활💰을 영위하는 3D 기반의 가상세계’라고 합니다.
따라서 게임도 넓은 의미에서는 메타버스의 범주 안에 들어간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 정의에서 주목해야 할 점은 바로 게임과 달리 메타버스에서 플레이어가 일상활동과 경제생활을 영위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즉, 정해진 규칙과 맵 안에서 한정적인 경험을 하는 게임과 달리메타버스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맵 안에서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고 심지어 새로운 콘텐츠를 제작하여 기여할 수도 있는 높은 자유도가 메타버스를 게임과 구분짓는 가장 큰 특징이라는 거죠.
메타버스의 무한한 확장성
가장 대표적인 메타버스 플랫폼의 예시로는 미국의 에픽게임즈에서 개발한 포트나이트(Fortnite)가 있습니다. 포트나이트는 게임이지만 이제는 메타버스에 가까운 형태로 진화한 플랫폼으로, 시작은 배틀그라운드와 같은 배틀로얄 장르의 게임에서 시작했지만, 유저들의 요구에 따라 게임 내 커뮤니티 가상공간인 ‘파티로얄’을 오픈했습니다. 이후 해당 공간에서 미국의 유명 가수인 트래비스 스캇의 공연을 진행하면서 큰 반향을 일으켰고 현재는 여러 유명 회사들의 제품 아이템을 게임 안에서 판매하면서 커머스 플랫폼의 형태를 띠고 있기도 합니다. [더 읽기🤸]
Google은 직원들과 일부 사용자를 대상으로 다음 달부터 AR 글래스 시제품 테스트를 진행합니다. 시제품에는 외부를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와 📷카메라, 🎤마이크까지 탑재됐습니다. Google은 2024년 출시를 목표로 ‘Project Iris'라는 AR 헤드셋을 개발 중입니다. 이는 2013년 업계에서 가장 먼저 내놓았던 AR 기기 ‘Google Glass’가 낮은 완성도와 비싼 가격 등으로 비판받고, 2015년 조용히 단종된 이후 AR 헤드셋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Google의 두 번째 도전입니다.
대체불가토큰(NFT) 민팅(Minting·발행) 플랫폼 '프리민트'는 지난 17일 약 5억원 규모의 NFT가 도난되는 등 악성 자바스크립트로 인한 사이버 공격 피해를 입었습니다. 국내 NFT 프로젝트인 '메타콩즈' 역시 올 4월 디스코드 해킹으로 약 4500만원 상당의 피해를 입은 데 이어, 지난 14일 재차 보안망이 뚫린만큼 정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블록체인 기업 및 보안업체 등으로 구성된 '보안협의체'를 구성, 연말까지 보안 지침서를 제작하겠다는 계획이라고 합니다.
메타버스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메타버스 내부에서 경제활동을 통해 돈을 버는 사례가 속속 등장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른 규제의 해석도 제각각인만큼 전문가들은 메타버스 산업 육성과 P2E 논란 해소를 위해 ①범부처 태스크포스(TF) 구성과 ②네거티브 방식 규제 논의 ③사행성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먼저 만들어 내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