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FT를 구매하고 발행하는 데에도 ‘가스비’라는 수수료를 내야 하는 것을 아셨나요? 이러한 가스비는 NFT 프로젝트가 어떤 체인에 기반하였는 지에 따라 천차만별로 달라집니다. 따라서 이번 글에서는 현재 NFT 프로젝트에서 압도적인 점유율을 확보한 이더리움과 최근 ‘이더리움 킬러’로 떠오르고 있는 솔라나와 바이낸스체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현재 NFT 시장 내 대부분의 프로젝트들은 이더리움 기반이며 실제로 NFT 거래대금 1위부터 20위까지 NFT 프로젝트를 살펴보면 NBA Top Shot을 제외하고는 모두 이더리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더리움의 높은 가스비와 느린 거래속도로 인해 바이낸스스마트체인(BSC), 솔라나(Solana) 등이 대안 체인으로 떠오르고 있는 상황입니다.
아래 표는 거래할 때 고려할 만한 주요 항목에 따른 정량적 비교이며, 보다 정성적인 비교는 ‘각 체인 별 정보’ 항목에서 진행할 예정입니다.
각 체인 별 정보
이더리움 (ETHEREUM)
개요
이더리움은 비트코인 이후에 나온 2세대 블록체인으로서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을 구현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이더리움이라는 메인넷 위에 디앱을 구축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성장할 수 있게 되었으며, 현재 대부분의 블록체인 관련 프로젝트들이 이더리움 생태계 안에서 서비스되고 있습니다.
대표 프로젝트
CryptoPunks🚬
크립토펑크는 이더리움 기반의 NFT 프로젝트로, 수많은 다른 NFT 프로젝트를 탄생하는데 초석을 마련하여, NFT의 시조로 불리고 있습니다. 특히 NFT가 아닌 일반 토큰을 만들 수 있는 ERC20 규약을 활용해, NFT를 구현했다는 점에서 상당히 의미있는 프로젝트입니다.
현재에는 NFT라는 개념이 막 생겨났을 때 실험적으로 발행된 초기 NFT 프로젝트였다는 점을 인정받아 높은 가격으로 거래되고 있습니다. ‘22년 5월 기준, 전체 거래량은 한화로 약 3조억원 정도이며 바닥가는 한화로 약 2억원 정도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출시 당시에는 ‘라바랩스’가 주도한 프로젝트였으나 ‘22년 4월 BAYC 제작사 ‘유가랩스’에 인수되었습니다.
Bored Ape Yacht Club🙉
‘21년 4월 출시된 BAYC는 가상자산의 급상승으로 부자가 돼버린 원숭이가 세상에 지루함을 느끼고 늪에 들어가 본인들만의 아지트를 만들었다는 세계관을 기반으로 한 PFP(Profile Picture) 프로젝트로 커뮤니티 특성을 강조하며 보유자에 IP권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22년 4월말 기준. 바닥가는 152 이더리움(한화 약 5억 4000만원)을 기록하여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을 정도로 NFT의 돌풍을 일으킨 대표적인 프로젝트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더 읽기📖]
올해 하반기에 B2B 용도로 출시될 Magic Leap 2에 탑재될 '3D depth-sensing'은 목표물에 발사된 빛과 각도 정보를 통해 거리를 파악하고, 물체를 인식할 수 있는 기술을 뜻합니다. CTO Julie Green은 “이 기술로 주변 환경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이는 AR 어플의 중요한 기둥이 될 것“이라고 했습니다.
포켓몬 GO의 제작사인 Niantic이 센티미터 수준의 정밀도를 자랑하는 세계적인 규모의 Lightship Visual Positioning System(VPS)을 공개하였습니다. 전 세계의 개발자들은 이를 사용하여 특정한 위치에 고정적으로 지속되는 AR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으며, 해당 내용은 모든 사용자에게 동기화 된다고 합니다.🤨.
카카오가 내달 말 원격근무 종료 이후에도 어디서든 일할 수 있는 '메타버스 근무제'를 기본 근무 방식으로 도입했습니다. 카카오 관계자는 "어디서 일하는지 보다 어떻게 일하는지가 더 중요하다고 판단해 메타버스 근무제라는 새로운 형태의 근무 방식을 설계했다"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디스코드에 실시간 음성연결 등을 전제조건으로 내세우고 있어, 카카오가 제시하는 '메타버스'에 여러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