님 NFT의 떡상 꿀팁🍯 NFT 아티스트 성공백서🔮📔 03: NFT 아티스트를 위한 성공 가이드라인👩🏫
*본 칼럼은 XREAL 1기 활동의 일환으로 작성된 것으로, 3주에 이어 연재될 예정입니다.
이전 내용에서, 더 빛났던 NFT 아티스트들을 그 이유와 함께 소개했다. 칼럼3에서는 NFT아트 시장 분석을 바탕으로 초보 NFT 아티스트들이 어떻게 하면 성공👩🎨할 수 있는지 그 가이드라인을 제시해보려 한다. 그저 그런 NFT 아티스트가 되고 싶지 않은 당신, 상업적 전략과 예술의 조화에 큰 거부감이 있지 않다면, 이번 칼럼을 한 번쯤 진지하게 읽어보시길 권한다.
무엇보다도, 유명해져라🧞♂️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 그림이 얼마나 높은 완성도를 가지고 있는지, 심미적인지 뿐만 아니라 ‘누가’ 그 예술품을 ‘왜’ 만들었는지에도 주목하는 경향이 있고, 그 주목도는 곧 가치💸가 된다.
슬프게도 예술품은 더 이상 작품 그 자체만으로 평가받지는 않는다. 아니, 오히려 현실 속에서 작품이라는 독립된 개체가 대중의 평가에 영향을 끼치는 정도는 부당하게도 낮고, 우리는 이 점을 인지해야 한다.
그렇다면 어떤 요소가 예술품의 가치를 대중에게 납득 시켜 주는가?
|
|
|
스스로를 예술 테러리스트라고 칭하는 영국의 예술가 Banksy(본명 불명)의 예시
영국의 예술가 Banksy는 2013년 "Better out than in"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노인 연기자를 고용, 초라한 행색으로 자신의 작품을 그 연기자가 그린 것처럼 보이게 해 6시간 동안 뉴욕 시의 길거리 좌판에서 7,8만원에 팔게 했다. 그런데도 사 가는 사람은 여섯 명 남짓이었는데, 다음 날 Banksy가 SNS에 사실 그 작품이 본인의 작품인 것을 인증하자 해당 작품들은 바로 10~20억의 가치를 인정받게 되었다. |
|
|
그러면, 어떻게 유명해질 것인가?
– 먼저 ‘나의 존재’를 퍼뜨리고, 그다음 ‘나의 작품’을 알려라
‘유명세’라는 것은 언뜻 보기에는 복잡하나, 그 본질은 사실 굉장히 단순하다. 얼마나 많은 사람이 나를, 또 내 작품을 알고 있는지에 관한 것이기 때문이다.
Step 1. 어떻게 ‘나의 존재’를 퍼뜨릴 것인가🧐?
|
|
|
커뮤니티형 NFT의 대표적 세 작품, Cryptopunks, BAYC, CloneX. 출처:Opensea
세계 최초의 NFT인 CryptoPunk, 매일 최고 거래량을 갱신하고 있는 BAYC, 근래 나이키가 인수하고 Steve Aoki, Tyga 등 최고의 셀럽들이 자비로 구입한 CloneX 등 근래 가장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NFT들은 대부분 커뮤니티형 NFT이다.
예술계에 새롭게 등장을 알린 커뮤니티형 NFT들은 많은 특징이 있지만, 그 중에서도 단연 돋보이는, 기존의 예술품들과는 매우 다른 feature가 하나 있다. 바로 ‘수량’이다. 커뮤니티형 NFT들은 예술품으로서 인정을 받으면서도 cryptopunk, BAYC 각 1만 점, CloneX는 무려 2만 점이라는, 시리즈물로 본다고 해도 기존의 잣대로서는 너무 많은 수량을 가지고 있다. 이 점은 상당히 독특한데 기존의 예술계가 1,2차 산업혁명이 가져온 기계의 압도적인 생산능력에 위협을 느끼고 공산품의 성격을 지닌 것들을 결코 예술품으로 취급하지 않는 풍조를 조장, ‘한정됨’이라는 특성에 가치를 부여해왔고, 특히나 실용적인 기능이 없는 심미적 예술품(그림 등)에서는 ‘한정됨’이라는 가치를 더욱 인정해왔기 때문이다. |
|
|
Sunflowers, Vincent van Gogh, 1888-1889
잘 와닿지 않는다면, Vincent van Gogh의 저명한 ‘해바라기’ 연작이 만약 열 두 점이 아닌 1만 점이었다면 지금 어떤 취급을 받고 있을까 상상해 보라. 10,000점 해바라기의 가치를 합한 것은 결코 열 두 점 해바라기의 가치를 합한 것보다 클 수 없을 것이다.
이렇게 많은 수량을 가진 작품들의 가치를 인정해주지 않았던 우리지만, 커뮤니티 NFT가 심리적 장벽을 무너뜨려 예술품의 대중화와 공급에 앞장서고 있는 것은 명확히 일어나고 있는 일이다. NFT의 등장 이전에는 상상할 수도 없던, 10,000점 이상의 시리즈의 가치를 충분히 인정받는 작품🖼️으로서 거래하는 행위가 가능하게 되었다. 우리는 이 기회를 이용해야 한다💫.
📔 Guideline 1-1) 커뮤니티형 NFT를 만들어라. 당신이 일주일 내에 1000명 이상의 팬 또는 작품 소유자를 만들 수 있는 기반이나, 능력을 갖추고 있지 않다면 (대부분이 그러하듯이), 커뮤니티형 NFT를 만들어 하루라도 빨리 배포하라. [더 읽기📔]
|
|
|
삼성이 세계지식재산권청(WIPO)을 통해 '갤럭시VR'과 '갤럭시360'라는 이름의 새 상표권을 출원했습니다.📧 애플과 Meta가 VR/AR 시장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만큼 삼성도 본격적으로 경쟁에 뛰어들 준비를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
|
|
트위터의 크리에이터들이 앞으로 가상화폐로 수입을 정산받을 수 있게 됐습니다.💰
가상화폐로는 미국 달러화에 연동된
스테이블 코인 중 하나인 USD 코인(USDC)이 이용됩니다.
|
|
|
메타가 기존에 지원하던 핸드트래킹 기술을 발전시켜 핸드트래킹 2.0을 공개했습니다. 기존 핸드트래킹 기술 대비 손의 빠른 움직임이나 겹침 인식에 대한 정확성이 개선되고, 인식할 수 있는 제스처의 범위가 확장됐습니다.
|
|
|
카카오가 10% 지분투자 한 바 있는 NFT 뱅크가 해시드, Sequia Capital, 디지털커런시 그룹과 같은 국내 외 글로벌 투자사로부터 150억원 규모의 Series A를 유치했습니다. NFT 뱅크는 그라운드 X 출신 데이터 사이언티스트가 창업했으며, NFT 거래 데이터를 분석해 적정 가격을 제시해주는 자산 관리 플랫폼입니다.
지니스는 아바타와 아이템을 NFT로 제작하는 툴과 이를 거래하는 마켓플레이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지난 12일에 시리즈B 6,500만 달러의 투자를 유치하며 유니콘 스타트업의 대열에 올랐습니다. 앞으로 NFT 프로필 사진 컬렉션과 같은 NFT기반 아바타 ID의 네트워크를 구축할 계획이라 밝혔습니다.
|
|
|
이번 한주의 뉴스레터는 어떠셨나요?👀
자유롭게 의견 남겨주세요! |
매주의 메타버스 뉴스가 궁금하다면?📰
아래의 링크로 구독하세요!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