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REAL 5월 넷째 주 소식 성인 10명 중 7명이 착용하는 안경… “스마트” 해진다면? |
|
|
출처: 메타 레이밴 스마트 글래스 (출처: Meta)
(사)대한안경사협회의 ‘2023년 안경 사용 실태 조사’에 따르면, 국내 성인 10명 중 7명은 매일 안경을 착용한다고 합니다. 이처럼 수많은 현대인들이 매일 '입는' 안경은 하나의 웨어러블 제품으로서 시력 개선이라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사람들의 일상생활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요. 그렇다면, 이러한 필수품에 AI와 AR 기술이 더해진다면 어떤 혁신이 가능할까요?
스마트글래스란 지능화된 착용형 글래스로, AI와 AR 기술 등이 접목된 세상을 바라보는 또 하나의 눈이라고 표현할수 있습니다. 유명 경제 매체 이코노미스트는 “스마트글래스”야말로 최신 생성AI 기술에 최적화된 웨어러블 폼팩터(Form Factor, 제품 외형)라고 평가했는데요. 스마트글래스는 사용성이 높고 착용감이 매우 편리해 UX(User Experience) 측면에서 손색이 없는 일상생활 밀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자리 잡을 잠재력이 높다고 합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최소 70% 이상의 성인들은 매일 아침 안경을 쓰고 밖을 돌아다니는 행위에 대해 거부감이 없습니다. 평소와 같이 스마트글래스 또한 코 위에 올려두고 어시스턴트와 자연어로 대화하듯 상호작용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무거운 HMD(Head-Mounted Display) 기기들보다 착용감이 뛰어나다는 견해인데요. 이렇듯 대중화에 용이한 조건들을 갖춘 스마트글래스 시장은 2023년부터 2030년까지 CAGR 27.1%로 급성장, 2030년까지 시장 규모 약 81억 8,71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합니다.
본 아티클에서는 메타버스 사업을 영위하기 위해 기업명까지 “Meta”로 변경한 메타(구 페이스북)의 AI-AR 글래스 주요 사업 3가지는 어떻게 전략적으로 메타버스 아젠다를 이끌고 있는지 톺아보고, 이것이 어떻게 핸즈프리 & 배리어프리한 메타버스 패러다임으로 이어질 수 있는지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
|
|
레이밴 스마트 글래스를 소개하는 메타 CEO 마크 저커버그 (출처: Fox Business)
1/ Meta의 AI 스마트 글래스 ‘레이밴(Ray-Ban)’
작년 10월 메타는 레이밴 스토리의 후속작으로 멀티모달 AI 기능이 탑재된 “레이밴 스마트글래스”를 출시하였습니다. 해당 글래스는 AR 플랫폼용 스냅드래곤 AR1 Gen1 칩셋이 탑재된 최초의 상업용 사례로, 착용자의 사용 경험을 극대화하는 신규 기능들을 대거 지원해 주목을 받고있습니다.
“헤이, 메타(Hey, Meta)!” - 언제든 메타 어시스턴트(Meta Assistant)를 불러올 수 있는 기존 명령어인데요. 이번 레이밴 스마트 글래스에서는 안경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을 어시스턴트에 전송해 처리 및 분석하는 ‘보기(look)’ 명령어가 새롭게 추가되었습니다. 예시로 글래스를 착용한 상태에서 식재료와 양념이 가득 놓인 식탁을 ‘보라고(look)’ 명령하면, 멀티모달 어시스턴트가 알아서 레시피를 알려주는 방식입니다.
이제 레이밴 스마트 글래스를 활용해 개인 메타 SNS(e.g.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 계정과 심리스하게 연동할 수 있습니다. 라이브 스트리밍을 통해 영샹을 공유하는것은 물론, 안경을 착용한 채로 시청자와 실시간으로 소통도 할 수 있는데요. 레이밴 안경을 착용하고 외국어 메뉴판을 바라보면 자동으로 번역이 될 뿐만 아니라 글래스에 달린 버튼을 눌러 사진을 찍으면 인스타그램에 글이나 사진으로 자동 게시 또한 가능하다고 합니다.
실시간 정보(e.g. 날씨, 교통, 뉴스, 쇼핑 등)에 대한 음성이 제공되는 것은 물론, 이제 왓츠앱이나 메신저를 통한 실시간 화상 통화도 가능합니다. 이 비디오 통화기능을 통해 화상 통화자에게 주변 풍경을 생생하게 공유하고, 일일이 타이핑할 필요없이 매장에서 고민 중인 상품을 보여주며 실시간으로 도움을 요청할 수도 있습니다.
더 놀라운 것은 레이밴 스마트글래스로 사용자의 시력에 맞춤화된 수백가지 이상의 렌즈를 조합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해당 글래스는 누진 렌즈(햇빛 아래서 선글래스, 실내에서는 투명)와 도수 렌즈 2가지를 모두 주문할 수 있어, 일반 안경/렌즈에 세팅된 내역들이 스마트글래스 상에서도 똑같이 호환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바로 이 부분이 일반 안경 착용자들도 무리 없이 레이밴 스마트글래스로 소프트랜딩 할 수 있게 만드는 지점이 아닐까 싶습니다. |
|
|
메타 이미지 분할 모델 SAM 개념도 (출처: Meta)
메타가 작년 4월 발표한 이미지 분할 AI 모델 'SAM(Segment Anything Model)'은 사진 및 동영상에서 물체를 개별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기술로, AI가 이미지 내에서 텍스트 프롬프트나 클릭한 지점을 기반으로 특정 물체를 분리해주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SAM 출시 이전에는 객체 분할 모델을 구현하기 위해 수많은 객체에 수동으로 주석을 달고 이를 기반으로 대화형 분할 혹은 학습을 진행해야 하는 등 상당히 매뉴얼한 프로세스가 수반되었었는데요. SAM이 등장하며 이러한 수작업이 크게 줄어들었고, 추가적으로 1,100만 개의 이미지와 11억 개의 분할 마스크가 포함된 데이터넷 'SA-1B' 공개 이후로 객체 감지 영역에서의 컴퓨터 비전 연구 또한 활성화되고 있습니다.
|
|
|
[이미지 출처] 한국경제
LG전자가 메타와의 확장현실(XR) 개발 동맹을 해체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결정은 메타의 CEO 마크 저커버그가 방한해 LG전자의 조주완 사장과 공식적으로 협업을 선언한 지 두 달 만에 나왔습니다. 업계 관계자들은 기대했던 시너지가 부족했던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LG전자는 내년에 계획대로 XR 기기를 출시할 예정이며, 새로운 소프트웨어 파트너를 모색 중입니다. 아마존과 같은 글로벌 기술 대기업들이 새 파트너 후보로 거론되고 있습니다. 또한, LG전자는 필요하다면 OS와 콘텐츠를 독자적으로 개발할 가능성도 열어 두고 있습니다. |
|
|
[이미지 출처] AI타임스
지난 13일 블룸버그는 애플이 6월 10일 열리는 세계 개발자 회의(WWDC) 이후 비전 프로를 한국과 중국, 독일, 프랑스, 호주, 일본, 싱가포르 등에 출시할 전망이라고 보도했습니다. 비전 프로의 해외 출시는 애플의 가장 인기 있는 제품인 아이폰의 판매가 둔화하는 상황에서 매출 증대에 도움이 될 것 이라는 분석입니다. 다만 업계는 출시 직후 판매된 비전 프로 대다수가 반품됐으며, 3499달러(약 478만원)에 이르는 높은 가격 대비 돈값을 못한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습니다. 따라서 해외 출시가 이뤄진다 해도 실제 판매량은 미미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습니다. |
|
|
[이미지 출처] 중앙일보
구글이 연례 개발자 회의 I/O 2024에서 공개한 AI 모델 ‘제미나이 나노’에 멀티모달 기능이 더해지며 AI 기기 전쟁이 더 치열해지게 됐습니다. 또한, 구글은 이날 AI 비서 ‘프로젝트 아스트라’를 공개하며 카메라를 통해 보이는 사물을 분석하고 음성 명령에 응답하는 등 구글 글라스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줬습니다. 이에, 이르면 올해 안에 선보일 구글·삼성·퀄컴 연합의 첫 XR 기기에 구글의 AI 비서 기능이 장착될 것이란 전망이 나옵니다. 삼성전자는 내부 프로젝트 코드명 ‘무한’으로 불리는 XR 기기를 올해 연말부터 생산하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 삼성전자가 기기를 제조하고, 퀄컴이 반도체 설계를 맡고, 구글이 OS와 소프트웨어·서비스 개발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
|
|
이번 한주의 뉴스레터는 어떠셨나요?👀
자유롭게 의견 남겨주세요! |
매주의 메타버스 뉴스가 궁금하다면?📰
아래의 링크로 구독하세요! |
|
|
TEAM New Media 📰
서창규 조민주 김수현 김정현 김수겸 신영환 신택성 양희원 전은정 강동현 김윤찬 강다연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