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REAL 1월 네번째 주 소식 애플의 새로운 비전, 공간 컴퓨팅
“In the same way that Mac introduced us to personal computing, and iPhone introduced us to mobile computing, Apple Vision Pro will introduce us to spatial computing.”
맥이 개인용 컴퓨팅을, 아이폰이 모바일 컴퓨팅을 선보였던 것과 같은 방식으로, 애플 비전 프로는 우리에게 공간 컴퓨팅을 선보일 것입니다.
-Timothy D. Cook, Apple CEO
2023년 6월 5일, 애플이 WWDC 2023에서 선보였던 혼합현실(MR) 헤드셋 “Apple Vision Pro”의 출시일이 일주일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애플은 이번 신제품을 ‘최초의 혁신적인 공간 컴퓨터’라고 홍보하면서 대중에게 생소한 “공간 컴퓨팅(spatial computing)”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는데요. 그렇다면 공간 컴퓨팅은 애플이 최초로 제시한 새로운 개념일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이미 사용되어 왔던 공간 컴퓨팅 개념은 5G 이동 통신망의 발전에 따라 지금의 확장현실(XR) 산업이 필연적으로 밟을 다음 단계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오늘 글의 1부에서는 공간 컴퓨팅이 무엇이며 어떤 미래를 가져올지 살펴보고, 이어 2부에서 애플의 신제품 Apple Vision Pro가 어떤 특징과 차별화를 보이는지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
|
|
1-1. 공간 컴퓨팅의 정의
“공간 컴퓨팅”이라는 단어는 가상현실 분야가 상용화되기 시작하던 1990년대 초반부터 간간이 사용되었다고 알려져 있으나, 2003년 MIT Media Lab의 연구원 시몬 그린월드(Simon Greenwold)가 해당 주제로 석사 학위 논문을 작성하며 학계에 정식으로 등장했습니다. 그는 공간 컴퓨팅을 ‘실제 물체와 공간에 대한 참조를 유지하고 조작하는 기계와 인간의 상호 작용’이라고 정의했습니다(Greenwold, 2003). 이를 풀어서 설명해본다면 사용자가 본인을 둘러싼 실제 공간에 직접 가상 요소를 만들어 곧바로 추가할 수 있는 시스템을 일컫는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저자는 공간 컴퓨팅이 다루는 공간과 가상 요소의 형태가 반드시 실제적인 가치를 기반으로 해야 한다는 점에서 모든 요소가 디지털로 이루어지는 3D 모델링 혹은 디지털 디자인과 차이를 두었습니다. 또한 사용자의 손, 음성, 신체 움직임을 활용해 자연스럽고도 직관적으로 실제 세계와 상호작용이 가능해야 함을 강조했습니다. 즉, 공간컴퓨팅은 실존하는 현실 세계를 바탕으로 디지털 콘텐츠를 현실 공간과 결합하는 기술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의 보고서에 따르면 이러한 공간 컴퓨팅은 기계, 참여자, 공간이라는 3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신동형, 2023). 각각의 요소에 대해 더 살펴볼까요?
- 첫째, 기계는 참여자와 공간의 접점입니다. 기계는 기능적 차원에서 컴퓨팅 성능과 인터페이스로 구분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의 스크린과 같은 2차원 형태를 뛰어넘어 360도의 3차원 콘텐츠와 오감 수용 콘텐츠를 수용하도록 발전하고 있습니다.
- 둘째, 참여자는 공간을 구성하는 주체이자 대상입니다. 생성된 공간 속에서 참여자 주체는 인간 개체일 수도, 비인간 개체일 수도 있습니다.
- 셋째, 공간은 형태에 구애받지 않는 혁신의 핵심입니다. 공간은 새롭게 창조되거나 소멸될 수 있으며 참여자의 의도에 따라 제한되거나 무한대로 확장되기도, 단절되었다가 연결되기도 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변모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공간 컴퓨팅은 우리가 살아가는 물리적 공간과 디지털 공간의 구분을 허물고 사용자가 컴퓨터와 보다 원활하고 몰입적인 방식으로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기술입니다. 공간 컴퓨팅 기술로 기계는 물리적 공간에 대해 학습할 수 있고, 물리적 공간에서 인간이 어떻게 행동하고 이동하는지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 이 데이터로 기계는 인간의 프로세스를 최적화하고 자동화할 수 있는 것이죠. 이는 몰입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발하기 위해 데이터와 로직을 포함하는 전통적인 컴퓨팅을 현실의 3D 공간과 통합하는 것입니다. 이처럼 공간 컴퓨팅은 하나의 기술 또는 하나의 디바이스에 국한되지 않으므로 로봇, 드론, 자동차, 가상 비서 등 기존의 다양한 기술들과 결합될 가능성이 앞으로 무궁무진한 분야입니다. 더불어 디지털 트윈이라는 동일한 개념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확장 현실(XR, Extended Reality) 기술의 역할이 매우 중요합니다.
결론적으로 공간 컴퓨팅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및 정보의 혼합으로 인간과 기술이 새로운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개인 컴퓨팅 및 모바일 컴퓨팅이 사회에 존재해 온 것보다 훨씬 더 영향력이 강한 새로운 형태의 컴퓨팅을 제공한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
|
|
1-2. 공간 컴퓨팅을 구현하는 기술
공간 컴퓨팅이 기계로 구현되는 만큼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기술에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공간 컴퓨팅의 핵심은 이동통신망이 뒷받침된 상태에서 핵심 기술인 XR(확장 현실), AI(인공지능), IoT(사물인터넷)를 중심으로 가상 경험을 물리적 세계에 혼합하는 것입니다. 온갖 기술이 집약된 형태라는 점은 이해되지만 막상 각 요소들이 어떻게 모여 공간 컴퓨팅을 구현하는지 감이 오지 않으실 수도 있는데요. 이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
|
[이미지 출처] 삼성 갤럭시 언팩 2024'에서 공개된 웨어러블 헬스케어 기기 '갤럭시 링' 티징 이미지
삼성전자가 17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새너제이에서 '삼성 갤럭시 언팩 2024'를 열고 반지처럼 손가락에 끼우는 헬스케어 기기인 “갤럭시 링”의 출시를 깜짝 예고했습니다. 이날 행사의 주인공은 단연 세계 최초 온디바이스 인공지능(AI) 스마트폰인 '갤럭시 S24' 시리즈였지만, 말미에 등장한 갤럭시 링도 못지않은 관심을 끌었습니다. 갤럭시 링이 VR·AR(가상·증강현실) 헤드셋 등의 입력 장치나 컨트롤러 역할도 가능할 것이란 관측이 나오면서 삼성전자와 애플이 스마트 링 시장에 본격적으로 뛰어들면 웨어러블 기기 시장도 급성장할 것으로 보입니다. |
|
|
[이미지 출처] 넷마블 에프앤씨
넷마블 손자회사이자 넷마블에프앤씨 자회사인 메타버스월드가 직원 전원을 권고사직했습니다. 메타버스월드는 그랜드크로스: 메타월드를 출시했었습니다. 메타버스월드는 메타버스 공간에서 현실과 가상 세계가 융합된 MMO 소셜 게이밍 기반의 오픈월드입니다. 작년 3월 31일에 공시된 넷마블에프앤씨 연결감사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에 넷마블에프앤씨는 매출 733억 5,800만 원에 영업손실 426억 2,500만 원으로 적자를 면치 못했고, 메타버스월드는 매출 6억 5,400만 원에, 당기순손실 357억 3,392만 원을 기록했습니다. 경영 악화와 메타버스 시장 상황을 감안한 결정입니다.
|
|
|
[이미지 출처] 넷마블
넷마블은 계열사 메타버스엔터테인먼트가 버추얼 아이돌 그룹 '메이브(MAVE:)'의 리더 '시우'와 대화할 수 있는 '챗 시우'를 오는 25일 선보일 예정이라고 18일 밝혔습니다. 메타버스엔터테인먼트 관계자는 "버추얼 아티스트 최초로 페르소나 AI 기술을 반영한 챗 시우는 팬들과 프라이빗한 일대일 대화가 가능하다. 버추얼 휴먼 아이돌과 팬과의 직접적 소통이 어려운 한계를 기술적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도전적인 시도에 관심을 가져주셨으면 좋겠다”고 전했습니다.
|
|
|
이번 한주의 뉴스레터는 어떠셨나요?👀
자유롭게 의견 남겨주세요! |
매주의 메타버스 뉴스가 궁금하다면?📰
아래의 링크로 구독하세요! |
|
|
TEAM New Media 📰
김수현, 김성규, 김지영, 복정욱, 서창규, 조민주, 윤가영, 이다솔, 이다연, 이서윤, 이재니, 허가영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