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REAL 12월 세번째 주 소식 게임 디자인을 더 똑똑하게 하는 법
구독자 여러분, 온라인 게임 좋아하시나요? 🎮
세상엔 다양한 온라인 게임이 있습니다. 오버워치2 같은 FPS 게임, 리그 오브 레전드 같은 AOS 게임, 메이플스토리 같은 MMORPG 게임, Steam의 여러 가지 인디 게임 등 저마다 다채로운 매력을 갖고 있는 게임들이 무궁무진하게 존재하죠. 이런 게임들은 기획, 그래픽 제작, 프로그래밍, 사운드 제작, QA, 마케팅 등의 단계를 통해 탄생합니다. 그중에서도 기획 단계는 게임의 방향성과 세계관, 시스템을 구축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작업자들은 기획에서 구상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업을 진행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특히, 오늘 다뤄볼 주제는 게임 제작 시 가장 초기에 진행되는 게임 컨셉 기획에 대한 내용입니다. 게임의 컨셉을 디자인하는 기획자는 게임 내 시나리오와 세계관을 작성하는 것부터 시작해서 캐릭터, 몬스터, 아이템, 배경, 건물, 던전, 필드 등의 다양한 요소와 그 배경이 되는 자연환경 등을 고안하게 됩니다.
기획자로서 문서로 유관 부서와 소통하기 위해서는 머릿속의 개념을 글뿐만이 아니라 시각화까지 해낼 수 있는 역량이 필요합니다. 나아가 문서 한 장 만으로도 기획자가 의도한 컨셉을 이해할 수 있도록 꾹꾹 잘 눌러 담아야 합니다. 실제로 기획자로서 게임 세계관을 작업하게 되면, 레퍼런스 이미지를 찾는데 오랜 시간을 투자하게 됩니다. 혹은 캐릭터나 배경을 직접 그리는 데 시간을 쏟게 되는 케이스도 있고, 3D 그래픽 제작 소프트웨어를 활용해서 직접 모델링을 하다가 야근을 하게 되는 경우도 있죠. 또한, 정해진 컨셉 기반으로 스크립트를 쓰는 것도 오래 걸리는 일입니다. 머릿속에서 무언가를 끄집어내려고 해도 잘되지 않아 헤매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다면 레퍼런스를 찾거나, 빚어내는 시간을 세이브할 수 있다면 어떨까요?
최근에는 ChatGPT, Stable Diffusion를 기반으로 한 AI 도구가 다양하게 등장했습니다. 주목할 점은, 특정 업무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하는 툴이 존재한다는 점입니다. 지금부터 게임 기획자의 생산성을 늘릴 수 있는 AI 도구들에 대해 소개하고, 활용 방법까지도 알아보고자 합니다. 예시로, 지금부터 가상의 RPG 게임을 만들어 해당 세계관을 발전시킨다고 생각하고 그 과정에서 어떻게 적절한 AI 도구를 활용해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컨셉 디자인 치트키
서사를 보충하자
|
|
|
크리스마스가 다가오고 있습니다. 우리 RPG 게임의 새로운 이벤트 던전은 눈이 내리는 마을을 컨셉으로 잡으면 시기적절해 보입니다. 그리고, 그냥 눈이 내리는 것 만으론 심심하니 사이버펑크 세계관 기반이라고 상상해 봅시다. 정리하자면, 사이버펑크 세계관 기반의 버려진 눈의 마을 세계관을 기획하게 되었습니다.
게임의 전반적인 테마를 잡았으나, 아직 부족합니다. 왜 이 마을이 버려졌는지, 왜 사이버펑크 세계관이 되었는지 보충할 수 있는 내용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마땅히 아이디어가 떠오르지 않는 상황입니다. 그렇다면 우리 뉴스레터에서 빈번히 소개해왔던, 그리고 구독자 여러분이 잘 알고 있는 ChatGPT를 활용해서 구상해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핵심은, 좋은 질문을 던져서 내가 원하는 양질의 답변을 얻는 것입니다.
단순히 “OO에 대해 알려줘”, “OO에 대해 구상해 봐”같은 모호한 질문으로는 피상적인 답변만이 돌아올 것입니다. Tip이 있다면, “질문하게 된 배경 공유 / (특정 인물 혹은 직업) 입장에서 / OO에 대해 / 근거를 / N 가지 / 작성해 봐 or 표로 정리해 봐 or … ” 등으로 구상하면 더욱 정교한 답변을 얻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질문할 수 있습니다.
"나는 지금부터 내 게임에서 새롭게 오픈할 이벤트 던전의 세계관 '로그라인'을 기획해야 해. 우리 게임은 '사이버펑크 세계관 기반의 버려진 눈의 마을 세계관'이야. 네가 게임 기획 전문가라고 생각하고 '왜 이 눈의 마을이 버려졌는지, 왜 사이버펑크 세계관이 되었는지' 보충할 수 있는 근거를 10가지 작성해 봐." |
|
|
출처: 뤼튼 (현재 GPT 4.0을 무료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
|
|
이로써 우리 이벤트 던전의 테마를 보충할 수 있는 10가지 아이디어를 얻어낼 수 있었습니다. 개인적으로 이 중에서 흥미로워 보이는 내용을 하나 고르자면 4번과 10번이었습니다. 그렇다면, GPT가 준 아이디어를 활용해서 이 눈의 마을이 왜 버려졌는지에 대한 근거를 정리해 봅시다. ‘이 마을은 기술 발전을 위한 대규모 공장 설립과 자원 개발로 인해 환경이 파괴되고, 오염물질로 인해 기후가 급격히 변화해 볕이 들지 않는 마을이 되었다. 이로 인해 사람들이 떠나게 되었고, 남은 것은 방치된 기계들뿐이었다.’로 보충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우리 RPG 게임에 고장난 로봇 몬스터가 등장하게 됩니다. 단순히 이 로봇 몬스터를 수많은 ‘몹’중 하나로 내버려두기보다, 몬스터에게 서사를 부여해도 재밌을 거예요. 예를 들어, 넥슨의 MMORPG 게임 ‘메이플스토리’ 기계무덤에 등장하는 ‘멍청이’처럼 입체감 있는 캐릭터가 등장하면 유저의 몰입감을 끌어낼 수 있을 겁니다. 던전을 무의미하게 배회하는 몬스터가 아니라, ‘어떠한’ 사유로 인해 반복해서 배회하고 있다는 설정을 만들면 매력적인 캐릭터가 될 테니까요. 이 또한 위처럼 ChatGPT를 활용해 보충하는 방법이 있겠죠? |
|
|
[이미지 출처] 메타
메타는 미래형 VR 헤드셋의 렌더링을 보여주고, 기존 부품으로 이 장치를 지금 당장 제작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Mirror Lake VR 헤드셋은 지난 10년간 메타의 디스플레이 시스템 연구 부서에서 개발한 수많은 기술의 정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는 홀로그램 광학, 망막 해상도 디스플레이, 가변 초점 모듈, 멀티뷰 시선 추적, 뉴럴 패스스루 및 리버스 패스스루가 포함됩니다. 하지만 이러한 폼 팩터와 경량화를 달성하려면 컴퓨터와 배터리를 보드 밖으로 옮겨야 할 것이라고 암시했습니다. 즉, 미러 레이크가 실현된다면 메타 퀘스트처럼 완전히 독립된 헤드셋이 될 수 없다는 뜻을 포함합니다. |
|
|
[이미지 출처] 한국메타버스산업협회
한국메타버스산업협회가 메타버스에 게임산업법 규제를 적용하는 것에 대해 “광의의 메타버스에 협의의 게임산업법 규제를 적용하면 버블 붕괴 이후 어려움에 처한 메타버스 산업의 해외진출과 투자를 가로 막게 될 것”이라며 성명서를 발표했습니다. 게임물관리위원회(게임위)가 지난 14일 문화체육관광부 후원으로 개최한 '융복합 콘텐츠 활성화 토론회'에서 “메타버스에 게임이 합쳐지면 등급 분류를 해야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에 한국메타버스산업협회는 “게임산업법 규제를 적용해 불필요한 의무를 부과하는것은 신산업을 과거의 낡은 규제 틀로 구속하는 것”이라며 “게임위는 무한한 확정 가능성을 지닌 메타버스 산업의 발전이 저해하게 된다는 것을 인지해야 한다”고 입장을 밝혔습니다.
|
|
|
[이미지 출처] 삼성 AI 포럼 2023
내년은 온디바이스 AI 개화기가 될 전망입니다. 온디바이스 AI는 클라우드나 원격 서버를 거치지 않고, 기기 자체에서 AI 서비스를 실현하는 기술입니다. 서버와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데이터센터에 투입되는 인프라 비용 절감이 가능하며, 개인 정보가 서버를 통해 유출될 확률이 적어 보안 측면에서도 우수합니다. 그동안 대기업에서 기밀 유출과 같은 이슈로 직원들이 챗GPT를 사용하지 못했는데 온디바이스 AI 노트북의 경우 보안 걱정 없이 챗GPT와 같은 언어모델 기반 서비스가 가능해집니다. AI 서비스의 업무적 활용이 가능해진다는 것은 그만큼 다양한 직종의 사용자들이 AI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바야흐로 AI 대중화의 시대가 열리는 것입니다.
|
|
|
이번 한주의 뉴스레터는 어떠셨나요?👀
자유롭게 의견 남겨주세요! |
매주의 메타버스 뉴스가 궁금하다면?📰
아래의 링크로 구독하세요! |
|
|
TEAM New Media 📰
김수현, 김성규, 김지영, 복정욱, 서창규, 조민주, 윤가영, 이다솔, 이다연, 이서윤, 이재니, 허가영 |
|
|
|
|